본문 바로가기
디자인·마케팅/마케팅

D2C(DtoC)란? 해외의 성공 사례

by 언제나데네브 2023. 9. 5.

D2C(DtoC)란? 해외의 성공 사례 브랜드를 철저 분석!

 

여러분은 D2C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D2C는 비즈니스 용어 중 하나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마케팅의 선두를 달리고 있는 미국에서는 많은 기업들이 D2C로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하여 성공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작은 회사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상품을 전달하고 싶다", "자사 상품을 직접 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하고 싶다!" 인터넷 판매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두어야 할 것이 D2C다.

 

소규모 사업자에게 추천하는 'D2C(DtoC)란 어떤 비즈니스 모델일까? 그리고 해외의 성공사례를 통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D2C(DtoC)란?

D2C는 Direct to Consumer의 약자로, 제조업체가 직접 소비자에게 상품을 전달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말한다.

 

기존 비즈니스 모델에서는 제조업체가 도매업체를 통해 소비자에게 상품을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면, D2C의 경우 소비자와 직접 거래하는, 말하자면 자사-소비자만의 관계라는 단순한 비즈니스 모델이다.

 

최근 인터넷의 보급으로 많은 기업들이 전통적인 비즈니스 모델에서 D2C로 전환하고 있다.

 

D2C 도입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D2C를 도입하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고객으로부터 직접 의견을 들을 수 있고, 더 많은 이해를 할 수 있다(신상품 개발 등에 도움이 된다).

상품과 서비스의 시장 출시 속도가 빨라진다.

브랜드, 제품, 평판 관리/통제가 쉬워진다.

옴니채널 가능

옴니채널: 멀티채널의 진화형으로 옴니(Omni) '전(全)', '다(多)' 라는 뜻으로, 어떤 판매 채널(PC, 모바일, SNS, 오프라인 매장 등)에서든 상품이 구매 가능한 것을 의미함.

 

D2C를 도입할 때 중요한 것들

D2C를 도입하면 많은 장점이 있지만, D2C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중요한 두 가지가 있다.

 

브랜드 파워

D2C를 도입할 때 브랜드 파워를 강화해야 합니다.

브랜드 파워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자사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 누구에게 전달할 것인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정체성'을 명확히 했다면, 다음은 브랜딩(Branding)이다.

 

당신의 '정체성'을 일관성 있는 정보로 지속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브랜드 파워를 강화해 나가야 합니다.

 

SNS에서의 정보 발신

브랜드 파워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SNS에서의 정보 발신이다.

 

단순히 정보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며 자사 우량 고객, 즉 '팬'을 늘리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SNS를 통해 소비자의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상품 개발이나 전략을 수립할 수 있고, 새로운 한 걸음을 내딛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D2C 도입으로 성공한 브랜드 사례

해외에서도 국내에서도 도입되고 있는 D2C, 이번에는 두 브랜드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Dollar Shave Club

Dollar Shave Club은 구독을 통해 면도날 교체용 면도날을 최소 1달러에 제공하는 회사다.

 

면도기 제조업체인 Schick 등 대기업의 광고로 중소기업의 진입이 어려워 보이는 상황에서 성공했다고 볼 수 있는 이유는 유튜브 동영상 유통이다.

 

다른 대기업들이 TV, 신문, 라디오 등을 통해 대대적인 광고를 하고 있는 가운데, 유튜브 동영상 유통이 주목받는 계기가 되었다.
조금은 우스꽝스러운 내용의 영상이지만, 임팩트가 있고 소비자의 머릿속에 남는 내용이다.

 

면도기 등은 매장 판매가 주류인 상황에서 인터넷 판매로, 그것도 설명으로 고객에게 접근하는 업계에서 보기 드문 전략을 사용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또한 온라인 판매로 고객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면도기 이외의 상품도 고객에게 직접적으로 어필할 수 있다는 D2C의 특징을 잘 활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https://youtu.be/ZUG9qYTJMsI?si=m-VhN_oew-1yZS5C

 

Glossier(글로시에)

뉴욕에서 출발한 코스메틱 브랜드로, 패션 블로그 운영자가 만든 브랜드이다.

 

Forbes의 기사에 따르면, Glossier는 5C를 의식하고 고객과의 소통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활동(D2C의 장점인 고객 피드백을 통해 제품 개발을 하는 것)을 통해 성공에 도달했다고 한다.

 

Glossier는 주로 유튜브,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인플루언서를 활용해 확산하는 등 고객이 원하는 것을 파악해 흥미를 유발하고 고객에게 어필하고 있다.

유튜브 Glossier 공식 채널에서는 유명인들과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있다.

 

Glossier의 제품만으로 스킨케어나 메이크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스킨케어나 메이크업 용품에 더해 사용하는 스타일이다.

 

사용자에 따라 다른 제품과 조합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글로시에 제품만 써보자! '라고 구매하기 쉽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Glossier는 철저하게 D2C를 통해 디지털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 성공 사례다.

 

여기 소개한 사례 외에도 안경 브랜드 Warby Parker, 화장품 브랜드 JULEP 등 많은 사례들이 있으니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디지털화가 진행되는 시대, D2C로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하면 더 많은 고객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팬을 늘릴 수 있습니다.
최근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매장 판매나 기존 비즈니스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아무리 작은 회사라도 비즈니스 모델을 D2C(DtoC)로 전환하면 유명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고, 어떤 파도가 와도 버틸 수 있는 축이 있는 회사로 거듭날 수 있습니다.

2025.04.07 - [디자인·마케팅/마케팅] - 한국에서 식품 분야의 D2C

 

한국에서 식품 분야의 D2C

한국에서 식품 분야의 D2C(Direct to Consumer, 소비자 직판) 모델로 성공한 사례는 몇 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다음 기업들을 들 수 있습니다. 이들은 중간 유통 없이 자사 온라인몰이나 자체 채널

kskim.tistory.com

2023.06.12 - [분류 전체보기] - D to C, D2C란

 

D to C, D2C란

DtoC란? 제조사 직접판매 EC인 DtoC의 개요와 성공 포인트에 대해 설명! DtoC란? 'DtoC'는 'Direct to Consumer'의 약자이다. 제조업체가 자체 개발한 제품을 중간상인(소매점 등)을 거치지 않고 소비자와 직

kskim.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