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수산물 판매/잡담8

스마트스토어 창업의 씁쓸한 현실 스마트스토어 창업의 씁쓸한 현실한때 스마트스토어 창업은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온라인 사업으로 각광받았다. 수많은 사람들이 성공 사례를 보며 높은 수익을 기대하며 뛰어들었고, 이를 이용한 고액 강의가 우후죽순 생겨났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많은 창업자가 기대와는 다른 결과를 맞이했고, 치열한 경쟁과 예기치 못한 문제들로 인해 좌절을 경험했다. 스마트스토어 창업의 현실을 냉정하게 짚어보며, 시작하려는 사람들이 신중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조언을 전하고자 한다. 고액 강의의 실상과 기대와 다른 현실스마트스토어 창업을 위해 수백만 원을 들여 강의를 수강했지만, 실질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대부분 유튜브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강의에서는 제품 등록, 상세 페이지 작성, 광고 운영 등의 .. 2025. 4. 2.
온라인 쇼핑몰 창업자들이 흔히 빠지는 매출 함정 온라인 쇼핑몰 창업자들이 흔히 빠지는 매출 함정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많은 창업자들은 월 매출 1억 원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하지만 매출이 높다고 해서 반드시 성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매출에만 집중하다가 정작 중요한 순이익과 현금 흐름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수익성이 악화되어 1년 내에 90% 이상이 사업을 포기하게 된다. 따라서 매출보다 중요한 요소들을 철저히 점검하고,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필수적이다.1. 높은 매출이 반드시 성공을 의미하지 않는다월 매출 1억 원을 달성했다고 해서 모든 것이 순조롭게 흘러갈 것이라는 착각은 위험하다. 매출이 증가하면 함께 증가하는 비용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실제로 많은 쇼핑몰 운영자들이 높은 매출에도 불구하고 재고 비.. 2025. 3. 27.
당근 비즈니스 프로필, 농산물 상품등록 당근 비즈니스 프로필 본래 목적은 제조업체만 입점 등록, 상품 판매가 가능하였으나, 위탁 판매 업체 요청이 많아 서류 제출시 이용 가능합니다. 저 역시도 농산물을 판매하기위해서 당근 비즈니스 프로필 입점 등록하고, 상품 판매를 하기위해서 상품 등록시 당근마켓에서 요구하는 서류가 있어서 준비하면서 느낀 점을 공유합니다. 직접 제조하거나, 소분하거나, 축산물 유통업을 하거나 대부분 인증된 서류가 존재합니다. 이런 경우 서류를 제출하면 당근마켓에서 판매를 하는것에 문제가 없습니다. 문제는 위에서 말한 위탁 판매를 하거나, 물건을 구매해서 판매하는 경우 당근마켓에서는 서류를 요청합니다. - 위탁 판매는 제조업체와 위탁판매계약서, 제조업체 영업신고증을 제출하면 된다고 합니다. 도매로 구매를 해서 판매를 하는 경우.. 2023. 9. 21.
광고비는 지불하기 싫고, 음식점 손님은 많았으면 ... #1 제가 사는 곳! 구좌읍 수요일, 서로 약속이 없으면 어김없이 만나서 점심을 같이 하는 지인 그 지인은 구좌읍에서 음식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명리동 구좌직영점 점심을 같이 먹으면서 주로 하는 이야기는 마을 또는 음식점 - 마을 이야기는 뒤로하고^^ 운영 중인 음식점 점심 시간에 ' 손님이 있었으면 좋겠다'라는 말을 자주 합니다. 그리고 '어느정도 규칙적인 수익이 생겼으면 좋겠다'라는 말도 자주 합니다. 명리동 구좌직영점 수요일 휴무에는 반대로 손님이 되어서 구좌읍 음식점 곳곳을 방문하여 마을 경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려고 보탬을 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도 점심때에 가던 곳만 갔었지만, 지금은 폭넓게 안 가던 곳도 방문 해 볼 기회가 생깁니다. 이런 도움을 받았으니, 저 역시도 도움을 드리고 싶어서 .. 2023. 8. 11.
이익률 높이는 방법 수익률을 높이는 방법이란|종류와 계산 방법, 높이는 포인트까지 설명 사업을 운영하는 데 있어 매출보다 더 중요한 것은 매출 대비 수익률이다. 수익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수익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운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수익률의 종류와 계산 방법, 높이는 방법까지 설명한다. 이익률이란? 이익률은 매출액 대비 이익의 비율입니다. 매출은 특정 기간의 매출 총액, 이익은 매출에서 비용을 뺀 금액을 의미합니다. 이익률이 높을수록 건전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낮다면 비용 대비 매출이 낮거나, 매입액이 높은 등 운영상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익률의 종류 이익률이라고 한 마디로 말해도 어떤 지표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몇 가지 종류로 나뉜다. 여기서.. 2023. 8. 10.
농산물 온라인 판매, 고민 #3 꾸준하게 팔고 싶다. 내가 재배한 농작물(당근)을 잘 팔고 싶고, 동네 형들이 재배한 농작물(깻잎, 당근, 키위, 미니단호박, 비트)을 잘 팔고 싶고, 제주도 생산자님이 재배한 농작물(귤, 양배추, 양파, 갈치, 옥돔, 건나물)을 잘 팔고 싶고, 그외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모든 농수축산물·가공품을 잘 팔고 싶다. 이런 고민의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이 블로그에 풀어보려고 한다. 농작물을 꾸준하게 팔고 싶어서, 가공/단순 가공을 알아보고 있지만, 제주도, 식품가공·유통 지원으로 농산물 경쟁력 높인다고 말은 하는데, 왜 이렇게 쉽지 않을까? 이런 고민은 답이 아닌 것 같다. 움직이자! 쉬운 것부터 단계적으로 앞으로 나아가볼 생각이다. OEM 제조부터 진행해볼 생각이다. 축산가공을 위탁제조하고, 유통 판매를 하.. 2023. 1. 26.
농산물 온라인 판매, 고민 #2 채워 넣으면 된다. 내가 재배한 농작물(당근)을 잘 팔고 싶고, 동네 형들이 재배한 농작물(깻잎, 당근, 키위, 미니단호박, 비트)을 잘 팔고 싶고, 제주도 생산자님이 재배한 농작물(귤, 양배추, 양파, 갈치, 옥돔, 건나물)을 잘 팔고 싶고, 그외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모든 농수축산물·가공품을 잘 팔고 싶다. 이런 고민의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이 블로그에 풀어보려고 한다. 중간에 멈추기 싫고, 고민을 문서화하면 조금 더 책임감이 생길 수 있지 않을까? 고민의 해답을 찾아가는 첫걸음을 내디딘 것 같다. 찾아낸 해답이 많은 분들에게도 해답이 되었으면 좋겠다. 농산물 온라인 판매 왜 어렵다고 느낄까? 반대로, 팔려고 하는 농산물은 왜 잘 키워낼까? 농부들은 자신의 밭 또는 시설(하우스, 비가림)에서 키우는 .. 2021. 9. 13.
농산물 온라인 판매, 고민 #1 "농부 입장"에서 생각해 봤다. 직거래 판매를 할 것인가? 농협 및 공동출하, 가입된 단체에 판매할 것인가? 판매 금액으로만 본다면 당연히 직거래 판매일 것이다. 좀 더 들어가 보면, 금전적인 부분 제외하고 비교하면 단체에 판매하는 것이 훨씬 수월하고, 득이 되는 부분이 많다. 그럼 금전적인 부분과 그 외 부분을 저울질해야 되는데 이것이 그리 쉽게 저울질되지 않는다. 당근 농사를 짓고 있다. 대략 천 평 ### 추정 수치입니다 ### 친환경 당근은 대략 영농비용을 1평에 만원으로 잡는다. - 지출 1000만원 그리고 20kg 박스(1박스 3만5천원) 기준 700 박스 ~ 900 박스 수확이 됩니다. 수입 3150만원 7월 말 파종 ~ 다음 해 1월 수확 이래서 경작 평수를 넓혀야만 타산이 맞는다. 경작 .. 2021. 7.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