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자인·마케팅/마케팅

네이버광고 품질지수 올리기 7칸으로 높이기

by 언제나데네브 2025. 3. 24.

네이버 광고의 품질 지수를 높여 광고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품질 지수는 광고 노출 순위에 큰 영향을 미치며, 높은 품질 지수는 낮은 CPC로도 상위 노출을 가능하게 합니다.

 

광고 소재등록 시 품질 지수4부터 시작하며, 이를 높이기 위해 눈에 띄는 썸네일 설정, 상품 연관 키워드 사용, 확장 소재 적극 활용,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제외 키워드설정, 모바일/PC 별도 관리, 합리적인 가격 설정, 그리고 전환율 높은 상세 페이지 제작 등의 전략을 소개합니다.

 

결국, 더 많은 클릭과 구매를 유도하는 광고를 만들어 품질 지수를 7칸까지 높이는 것이 목표이며, 이를 통해 광고 비용을 절감하고 판매를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네이버 광고운영자가 광고 최적화를 통해 효율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1. 네이버 광고의 품질 지수와 그 중요성

  • 네이버 광고에는 광고의 질을 평가하고 노출 순위에 큰 영향을 미치는 품질 지수가 존재한다.
  • 광고 노출 순위는 입찰가와 품질 지수의 곱으로 결정되며, 높은 품질 지수는 낮은 CPC로도 상위 노출을 가능하게 한다.
  • 품질 지수가 높으면 CPC가 낮아도 경쟁사보다 높은 순위에 노출될 수 있다. (예: CPC 300원, 품질 지수7 vs CPC 600원, 품질 지수3)
  • 품질 지수는 1칸부터 7칸까지 막대기 형태로 표시되며, 경쟁사 광고와의 상대적인 값을 보여준다.
  • 광고 소재마다 품질 지수가 부여되며, 품질이 높을수록 더 많은 칸을 차지하게 된다.

2. 광고 재등록을 통한 품질 지수 초기화

  • 네이버 광고소재를 처음 등록하면 기본 품질 지수 4를 받는다.
  • 운영 중인 광고의 품질 지수가 4 미만이라면 광고를 복사하여 재등록하는 것이 좋다.
  • 품질 지수가 낮은 광고는 새로운 광고로 대체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3. 클릭률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썸네일 전략

  • 상품의 특징을 명확히 보여주는 눈에 띄는 썸네일은 클릭률 증가에 큰 도움이 된다.
  • 클릭률은 광고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 네이버 광고에서는 광고용 썸네일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다양한 썸네일을 테스트하며 클릭률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4. 상품 연관 키워드 활용으로 광고 품질 향상

  • 상품명 작성 시 상품과 연관된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구매 전환율이 높은, 제품과 명확하게 핏이 맞는 키워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광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 광고용 상품명을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5. 확장 소재를 활용한 광고 주목도 높이기

  • 확장 소재를 꼼꼼히 채워 광고의 주목도를 높여야 한다.
  • 구매수, 리뷰수, 평점 등을 표시하면 고객의 클릭을 유도할 수 있다.
  • 고객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추가 홍보 문구를 작성하여 주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6.  데이터 분석을 통한 광고 효율 최적화

광고 진행 시 데이터 분석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제품과 관련 없거나 클릭률과 전환당 비용이 낮은 키워드는 제외 키워드로 설정하여 노출을 방지해야 한다.

클릭률과 구매 전환은 품질 지수향상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를 고려한 최적화가 필요하다.

 

7. 모바일/PC 별도 관리와 전환율 극대화 전략

  • 네이버 광고에서는 모바일과 PC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어, 특정 매체의 품질지수를 높이는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 상품의 합리적인 가격 설정은 클릭률과 전환율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판매가 잘 되는 가격을 설정해야 한다.
  • 상세 페이지는 고객의 구매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고객의 문제에 공감하고 제품의 이점을 잘 표현하여 전환율을 높일 수 있다.
  • 잘 작성된 상세 페이지와 타사보다 더 많은 클릭과 구매를 유도하는 광고를 등록하면 품질 지수를 7칸까지 높일 수 있다.
  • 품질 지수를 최대로 높여 더 적은 비용으로 많은 판매를 달성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