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수산물 판매/잡담

농산물 온라인 판매, 고민 #3

by 언제나데네브 2023. 1. 26.

꾸준하게 팔고 싶다.

 

내가 재배한 농작물(당근)을 잘 팔고 싶고,

동네 형들이 재배한 농작물(깻잎, 당근, 키위, 미니단호박, 비트)을 잘 팔고 싶고,

제주도 생산자님이 재배한 농작물(귤, 양배추, 양파, 갈치, 옥돔, 건나물)을 잘 팔고 싶고,

 

그외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모든 농수축산물·가공품을 잘 팔고 싶다.

 

이런 고민의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이 블로그에 풀어보려고 한다.

 

농작물을 꾸준하게 팔고 싶어서, 가공/단순 가공을 알아보고 있지만,

제주도, 식품가공·유통 지원으로 농산물 경쟁력 높인다고 말은 하는데,

왜 이렇게 쉽지 않을까? 이런 고민은 답이 아닌 것 같다. 움직이자!

 

쉬운 것부터 단계적으로 앞으로 나아가볼 생각이다.

OEM 제조부터 진행해볼 생각이다.

 

축산가공을 위탁제조하고, 유통 판매를 하려고 하니

'축산물유통전문판매업'을 신고해야 된다고 해서,

축산물 위생 교육을 받고, 수료증을 받은 상태이다.

 

아직 신고를 하기 전이지만, 필요한 서류는 준비가 되었기 때문에

어려운 부분은 없었던 것 같다.

 

이렇게 준비한 이유는

나의 상표로 유통을 하고 싶어서였다.

같은 상품으로 경쟁하는 것도 싫고, 꾸준하게 팔 상품이 필요하기도 해서

진행했다.

 

'축산물유통전문판매업' 간단하게 알아보자.

축산물을 가공/포장 등은 위탁제조 하면서

자신의 상표로 유통하려는 경우 

'축산물유통전문판매업'을 신고해야 된다.

 

반드시 필요한 서류는

1. 축산품 유통전문판매업 위생교육수료증

2. 제조사 OEM 계약서

3. 제조사 영업등록증 사본

4. 영업장 평면도

5. 건강진단결과서

필요한 것은 별도로 안내해준다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